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총정리
정부는 물가 부담과 경기 침체 속에서 서민 가계를 지원하기 위해, 2025년 9월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을 실시합니다.
국민의 약 90%를 대상으로 1인당 10만 원을 지급하는 만큼, 대부분의 국민이 관심을 가져야 할 정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소비쿠폰 2차 사업의 지원 대상, 신청 방법, 사용처, 주의사항을 하나씩 문어체로 상세히 설명드리며,
특히 문의가 많은 맞벌이 부부 기준도 별도로 설명드리겠습니다.
1.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??
- 정부가 국민 90%에게 1인당 10만 원을 지급하는 소비 지원금입니다.
- 지급 형태는 신용카드·체크카드 포인트, 선불카드, 지역사랑상품권 중 선택 가능합니다.
- 2025년 9월 22일(월)부터 10월 31일(금)까지 신청·지급이 가능하며, 사용은 11월 30일(일)까지 가능합니다.
-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자동 소멸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.
2. 지원 대상 기준 해설
9월 15일 ~ 16일 국민비서 알림을 통해 "민생회복 지원금 2차 대상자"라는 안내 메시지를 받았다면, 신청 가능합니다!!
정확한 정보는 아래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.
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소득 수준을 기준으로 90% 국민에게 지급됩니다.
◾ 건강보험료 기준
- 2025년 6월 부과 건강보험료(본인부담금 기준)가 가구원 수 및 가입 유형별 기준액 이하인 경우 지원 대상입니다.
- 여기서 ‘장기요양보험료’는 제외되며, 표에 나와 있는 본인부담금 기준만 적용됩니다.
◾ 고액 자산가 제외 조건
아래 두 가지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- 2024년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가 12억 원 초과
- 2024년 귀속 금융소득 합계가 2천만 원 초과
건강보험료 기준표 (2025년 6월 기준)
가구원수 |
건강보험료 기준액(본인부담금) |
||
직장 | 지역 | 혼합 | |
1인 | 220,000원 | 220,000원 | - |
2인 | 330,000원 | 310,000원 | 330,000원 |
3인 | 420,000원 | 390,000원 | 420,000원 |
4인 | 500,000원 | 460,000원 | 500,000원 |
5인 | 600,000원 | 590,000원 | 620,000원 |
6인 | 690,000원 | 670,000원 | 730,000원 |
7인 | 780,000원 | 740,000원 | 850,000원 |
8인 | 850,000원 | 790,000원 | 930,000원 |
9인 | 930,000원 | 860,000원 | 1,050,000원 |
10인 이상 | 1,050,000원 | 960,000원 | 1,230,000원 |
※ 혼합가구란 가구 내에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가 함께 있는 경우입니다.
※ 다소득 가구의 경우, 가구원 수에 +1을 추가 적용합니다.
👨👩👧👦 맞벌이 부부 기준 해설 (중요)
맞벌이 부부는 두 명 모두 건강보험료를 납부하고 있기 때문에, 각자의 건강보험료를 합산하여 기준표에 적용해야 합니다.
예를 들어:
- 맞벌이 2인 가구로, 한 명은 직장가입자로 매월 200,000원, 다른 한 명은 지역가입자로 130,000원을 납부 중이라면,
총합 330,000원으로 계산됩니다.
해당 금액이 2인 가구 기준치(직장 혼합 330,000원 이하)에 해당하므로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.
다만, 두 명 모두 지역가입자인 경우엔 310,000원이 기준이 됩니다.
맞벌이 가구는 반드시 본인과 배우자의 보험료를 합산하여 표에 맞춰 판단해야 하며, 한 명만 기준 이하인 경우라도
전체 가구로는 초과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.
3. 신청 방법 및 일정
"2차 민생회복 지원금"은 온라인 신청 시, 대상자 여부를 조회한 후, 쉽고 편리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신청기간: 2025년 9월 22일(월) ~ 10월 31일(금)
- 신청주체: 전 국민 개인별 신청
- 신청방식:
-
- (온라인) 9개 카드사 홈페이지‧앱‧콜센터‧ARS에서 확인 가능
KB국민카드, NH농협카드, 롯데카드, 삼성카드, 신한카드, 우리카드, 하나카드, 현대카드, BC카드 - (온라인) 지역사랑상품권 앱에서 확인 가능
코나아이, 한국조폐공사, 비즈플레이, KIS정보통신, 나이스정보통신, 부산은행, 제로페이, IM뱅크, 전북은행 - (온라인) 케이뱅크・카카오뱅크・토스(뱅크)・카카오페이・네이버페이 앱에 접속 후, 대상자 조회 > 신청
- (오프라인) 읍・면・동 주민센터 또는 카드와 연계된 은행영업점*을 방문하셔서 조회 및 신청 가능
KB국민은행, NH농협, 신한은행, 우리은행, 하나은행, IBK기업은행, iM뱅크, 경남은행, 광주은행, 새마을금고,
우체국,전북은행, 부산은행, SC제일은행, 제주은행, 수협은행, 저축은행(체크카드취급점), 농・축・신협 등
- (온라인) 9개 카드사 홈페이지‧앱‧콜센터‧ARS에서 확인 가능
-
신청 전, 대상자 여부 확인은 국민비서 알림을 통해 09/15 ~ 16일 사이 안내받을 수 있으며, 미성년자는 세대주가 신청합니다.
4. 지급 수단
신청 시 다음 중 하나로 선택 가능:
- 신용카드/체크카드 포인트
- 선불카드
- 지역사랑상품권
5. 제외 대상 및 제한 사항
- 재산세 과세표준이 12억 원 초과하거나 금융소득이 2천만 원 초과인 경우 지원 불가
- 신청 기간 내 미신청 시 지급 불가
- 사용기한인 11월 30일까지 미사용 금액은 자동 소멸
6. 소비쿠폰 사용처
- 사용지역: 신청자의 주소지 관할 지자체
- 사용가능 매장:
- 전통시장, 동네마트, 식당, 카페, 미용실, 약국 등
-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매장
-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
- 사용불가 매장:
- 대형마트, 백화점, 면세점
- 온라인 쇼핑몰, 배달앱
유흥업소, 보험사, 통신요금 자동이체 등
7. 찾아가는 신청 & 군 장병 지원
-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마찬가지로 고령자,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경우, 지자체가 직접 방문하여 신청 접수 가능
- 군 장병도 관외신청 가능하며, 복무지 인근 상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선불카드 지급
8. 이의신청 방법
- 접수기간: 2025년 9월 22일 ~ 10월 31일
- 접수처:
- 온라인: 국민신문고
- 오프라인: 읍면동 주민센터
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자주하는 질문 보러 가기